카테고리 없음

수업기술주의 VS 수업공동체 주의 [광주드림 이재남]

물고기와대화 2023. 6. 13. 08:30
반응형

 

 

 

교육학의 근본 문제를 많은 교육 학자들은 왜 가르치고, 무엇을 가르치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로 압축한다.

 이 세 가지 질문에 답이 동시에 나타나는 곳이 교실이다.

 이 질문에는 교사의 존재론적 의미와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담겨있다. 또 교사의 수업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가의 문제에 답하는 것이기도 하다.

 최근 좋은 수업에 대한 논의가 과거의 단위 수업 목표 도달 여부가 중요시되었던 이론에서, 최근에는 배움에서 소외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목표를 지향하는 관점이 대두되고 있다.

 전자는 수업 기술주의를 대변하는 대표 논리로서, 이론상으로는 모두의 목표 도달을 추구하지만, 실제 수업 양상에서는 수많은 실패 현상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의 문제가 더 중요하게 주목받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생들을 좀 더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맞춤과 참여형으로 학습할 수 있기 위한 조건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교사들이 함께 탐구하기 위한 노력이 수업 공동체주의 입장이다.

 

 교사 1인 퍼포먼스 중심 관행 극복해야

 

 그동안 교수학습 기술을 중심으로 1대 다수의 학습방법의 학습시대가 상징했던 수업 기술주의 관점에서 대두되었던 정책들이, 수업 달인, 수업 명인, 수업 기술등급제 등이다.

 이 영향으로 임용교사 시험장에서도 도입, 전개, 정리 과정을 담은 짧은 수업 퍼포먼스를 실기평가로 하고 있다.

 교사의 수업행위를 표준화, 또는 등급화하여 고도화해야 한다는 주장은 교육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주장이다.

 반면에 최근 수업 공동체주의 가치들이 도입되면서, 학생들의 학습 실패 지점에 집중하면서, 교사 개인의 1인 퍼포먼스 중심의 수업 관행을 극복하자는 운동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교사들이 공동체를 형성하여 다양한 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해결점을 찾아내고, 수업안을 공동으로 만들어, 공동으로 실천하는 집단지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나는 이런 수업 탐구 교사공동체는 우리의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토대라고 생각한다.

 이 움직임은 교사와 단위 교실을 넘어, 학년과 교과로, 학교 전체로, 옆 학교로, 지역으로, 전국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최근 국가 수준의 2022 교육과정 구성을 현장에서 주도했던 전국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같은 조직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한편으로 수직적인 학교문화에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도 만들어내고 있다.

 이를 행·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수업 공감 톡톡, 수업 나눔 내실화 같은 정책들과 함께 이런 마인드를 가진 교사들이 마음껏 수업역량을 발휘하고, 연구할 수 있는 학교가 혁신학교이기도 하다.

 일각에서는 수업 등급제 같은 개별교사의 수업기술 척도를 만들어 한다는 주장을 하지만, 이런 주장은 결과적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일면적으로 이해하여, 교사의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고, 대상화하고, 타성에 젖게 하는 결과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은 어느 나라나 교육 당국의 핵심과제이다.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관건이기 때문이다.

 

 수업연구지원이력시스템도입해볼만

 

 어떻게 지원해야 할까. 전문직으로서의 교사의 자존감을 지키면서도, 무차별 경쟁에 내몰리지 않는 자기 성장의 기제가 필요하다. 전문가에 가장 필요한 덕목이 자기 연찬이다.

 수업 연구, 학급운영과 상담, 각종 발표 등 자기 연찬의 성장 과정을 스스로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는 수업연구지원이력시스템같은 것은 어떨까.

 

 자기 연찬과 공동연구 등의 과정을 충실히 기록하고, 이 과정이 교사로서의 자기 성장의 거울이 될 수 있게 하고, 교육 당국은 이 빅데이터를 통해 교사지원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할 수 있지 않을까.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무엇을 하던 교사들을 줄을 세워서 경쟁을 유발해야 한다는 철학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교육의 본질이 모든 꽃은 흔들리면서 핀다는,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이재남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정책과장

 

광주드림 2023.05.21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28224